본문 바로가기

내나라 둘러보기/경기도

서운산 청룡사

 청룡사 전경

 

                       1265년(고려 원종 6) 서운산 기슭에 명본국사()가 창건한 절로, 창건 당시에는 대장암()이라

                       하였으나 1364년(공민왕 13)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고 청룡사로 고쳐 불렀다고한다.

                       청룡사라는 이름은 나옹화상이 불도를 일으킬 절터를 찾아다니다가 이곳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청룡을

                       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절 안에는 대웅전(보물 824), 관음전, 관음청향각, 명부전 등이 있고, 대웅전 앞에는 명본국사가 세웠다는

                       삼층석탑 등이 보존되어 있다.

                       대웅전은 다포계의 팔작집으로  고려시대 건축의 원형을 보여 주고 있다.

                       인평대군()의 원찰()이었다는 청룡사는 1900년대부터 등장한 남사당패의 근거지이기도 했다.

                       이들은 청룡사에서 겨울을 지낸 뒤 봄부터 가을까지 청룡사에서 준 신표를 들고 안성장터를 비롯해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연희를 팔며 생활했다. 지금도 건너편에는 남사당마을이 남아 있다.

 

청룡사 대웅전

 

 보물 제824호. 정면 3칸, 측면 4칸. 다포계(多包系) 단층 팔작기와지붕. 고려시대인 1265년(원종 6) 명본국사

        (明本國師)가 창건한 청룡사의 본당으로, 그 후 공민왕 때 중건되었으며, 현건물은 조선 후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은 내삼출목(內三出目) ·외삼출목의 공포(包)를 짜고, 전면은 겹처마, 후면은 홑처마로 하였으며,

                       천장은 연등으로 하여 내부 가구(架構)가 전부 노출되었다.
                       또, 측면 기둥에서 대들보[大樑] 위에 걸쳐지는 충량(衝樑)이 3개씩 있어서 특이하다.

                       공포 쇠시리에는 연봉이 있어, 조선 후기의 건축기법을 보이며, 산미(山彌) 끝이 수직으로 잘린 첨차형(遮型)

                       건물이다.

 

                       법당 안에는 1674년(조선 현종 15)에 만든 5톤 청동종이 있고, 큰 괘불이 있어 대웅전 앞에 괘불을 걸 돌지주

                       까지 마련해 놓았다.

 

대웅전 측면 모습

 

 

                       구불구불한 아름드리 나무를 껍질만 벗긴 채 본래의 나무결 그대로 살려 기둥으로 세웠다.

 

 대웅전 관음보살좌상

 

 청룡사 삼층석탑

  탑의 높이는 2.4m이다. 지대석은 크기가 다른 여러 개의 돌로 구성되었고 그 안에 한 개의 돌로 된 하대석을

  놓아 탑을 받치고 있다. 이 하대의 네 귀에 낙수면이 표현되었고 중앙에 3단의 괴임을 두었다. 지대석 위에는

  3단의 받침이 기단을 받치고 있다.

 

 종각

 

청룡사 동종

 

                      종 전체에 검은 빛이 감돌고, 표현 수법이 사실적이고 생동감이 있다. 전통적인 신라 범종의 형태를 잘 갖추고

                      있으며 17세기 범종 연구와 승장들의 사회상, 사원경제구조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품이라고 한다.

                      청룡사에서 소유 및 관리하며 예불의식 때 사용된다고 한다. 

 

 

 

 좌측면에서 바라본 대웅전

 

 대웅전 정면 모습

 

 우측면에서 바라본 대웅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