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나라 둘러보기/경기도

조선왕조의 가례 - 화성문화제

 

                     조선왕조 가례는 왕을 위시하여 왕세자나 왕세자손과 같이 왕통을 이어나갈 분들의 혼례를 이르는 것으로

                     그 절차는 납채 납징 고기 책빈 친영 동뢰 육례 (六禮)로 진행되기 때문에 여러달에 걸쳐 수천명의 인원

                     이 동원되는 나라의 큰 잔치이다.

                     별궁 (別宮)은 가례기간 동안만 왕비나 왕세자빈의 집 역활을 하는 궁으로서 삼간택 (三揀擇)에서 뽑힌 예비

                     왕비나 왕세자빈을 별궁으로 모셔 놓고 궁중에서 지켜야할 법도와 가례의식이 거행되는 순서 등을 미리 연습

                     시켰다.

 

 

 

                     삼간택에 뽑힌 왕세자빈은 이미 보통사람의 신분이 아니기 때문에 사가 (私家)로 돌아갈 수 없고 별궁으로

                     직행하게 되는데 이 별궁에서 육례중에 오례 (五禮)인 수납채 수납징 수고기 빈수책 친영의를 치르게 된다.

                     별궁은 왕세자빈의 집 역활을 하는 곳으로 궁중발기에서는 부인궁 (夫人宮)이라고 하는데 이는 초간택 (初

                     揀擇) 재간택 삼간택을 거쳐 선발된 처자를 비 (妃)나 빈 (嬪)으로 부르기는 아직 이르고 그렇다고 해서 2~3

                     개월 후에는 가례 절차를 거쳐 대궐에 들어가 왕세자빈이 될 분에게 무엇이라 이름 붙이기가 곤란하였기 때문

                     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이 삼간택에 선발된 왕세자빈을 별궁에 모시는 것은  일반백성들과 같이 왕세자가 사가로 왕세자빈을

                     맞이하러 간다는 것이 체통이 서지 않는 일이며 또한 신부의 집이 좁은 경우 가례에 관련된 많은 인원을 숙식

                     시킬 능력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가례의 절차

 

                      1. 납채 (納采)

                         간택된 왕세자빈이 머물고 있는 별궁으로 궁궐에서 사자 (使者)를 보내 청혼하는 의식

 

                      2. 납징 (納徵)

                         혼인이 이루어지게 된 징표로 궁궐에서 사자로 하여금 별궁에 예물을 보내는 의식

 

                      3. 고기 (告期)

                         궁궐에서 길일 (吉日)을 택해 가례일로 정하여 이를 별궁에 알려주는 의식

 

                      4. 책빈 (冊嬪)

                         궁궐에서 왕세자빈을 책봉하는 의식과  별궁에 사신을 보내 왕세자빈으로 책봉 받도록 하는 의식

 

                      5. 친영 (親迎)

                         왕세자가 별궁에 직접 가서 왕세자빈을 맞아들여 궁궐로 돌아오는 의식

 

                      6. 동뢰 (同牢)

                         왕세자와 왕세자빈이 서로 절을 나눈 뒤에 술과 찬을 나누고 첫날밤을 치르는 의식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