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나라 둘러보기/전라도

윤스테이로 더욱 유명세를 타게 된 구례의 쌍산재~

 

조선시대에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했다는 운조루를 나서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쌍산재를 찾았다.

 

 

운조루에서 쌍산재로 이어지는 도로 이름은 당몰샘로다.

 

 

 

 

 

 

 

쌍산재 입구 바로 옆에 당몰샘이라는 오래된 샘이 있다.

 

 

이곳 상사 마을은 구례군 간전면 양천 마을과 함께 전국 최장수 마을로 꼽히고, 이곳 사람들은 장수의 비결로 심산유곡의

 

깨끗한 환경과 이 당몰샘을 꼽는다고 한다.

 

 

당몰샘은 "지리산 약초 뿌리 녹는 물이 다 흘러든다"는 말을 할 정도로 효능이 뛰어나며, 1986년 고려대 예방 의학팀의

 

수질검사 결과 대장균이 한 마리도 없는 전국 최상의 물로 판명됐다고 한다.

 

 

이 마을 토박이 성씨인 의성 김씨 일가에 의하면 그 선조가 조선 말기에 명당을 찾아 전라도 고을을 헤매던 중 당몰샘을

 

저울로 달아보니 물 무게가 다른 곳보다 많이 나가고 수량도 풍부하여 이곳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그런 이유로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약수를 뜨기 위해 찾아오는 사람들로 항상 붐빈다고 하고~

 

 

 

 

 

 

 

쌍산재 입구다.

 

 

입구의 안내판에는 해주 오씨 문양공 동정공파라는 집안 내력과 전라남도 제5호 민간정원으로 지정되어 있다는 사실,

 

조선 후기 선비의 생활상이 보존된 약 16,500m2의 정원에 15채, 90여 칸으로 이루어진 고택이라고 간략히 적혀 있다.

 

 

안내판에 첨부된 쌍산재의 각 건물 배치도다.

 

 

 

 

 

 

쌍산재 안으로 들어선다.

 

 

쌍산재의 안채 앞에 선 모습이다.

 

 

 

 

 

 

 

관리동 처마에 주렁주렁 매달린 곶감이 가을의 정취를 물씬 느끼게 해 준다.

 

 

쌍산재 안으로 들어서면 곧바로 관리동과 만나게 되고 이곳에서 입장료를 지불하면 웰컴 티를 한 잔씩 마련해 주는데

 

웰컴 티를 받아 든 방문객은 각자의 취향대로 원하는 곳에서 쌍산재의 다양한 정취를 즐기게 된다.

 

 

관리동 앞에서 바라본 입구 모습인데 안내인 중에는 외국인도 한 명 있다.

 

매스컴으로 유명해진 이곳을 찾는 외국인에 대한 배려인 듯~

 

 

 

 

 

 

 

관리동 앞에서 본 사랑채 뒷모습과 건너채 모습이다.

 

 

안채와 장독대 모습이고~

 

 

 

 

 

 

 

죽노차밭길 모습이다.

 

 

 

 

 

 

 

웰컴 티를 준비해 주는 동안 주 생활공간인 안채와 사랑채 주변을 살펴봤다.

 

 

 

 

 

 

 

안마당에서 바라본 사랑채 모습이다.

 

 

 

 

 

 

 

돌계단 위의 조금 높은 곳에 사당이 위치하고 있다.

 

 

안마당에서 본 관리동 모습이다.

 

 

 

 

 

 

 

안채 모습이다.

 

 

 

 

 

 

 

안채와 장독대 사이의 공간에 가을걷이를 한 도토리, 은행, 고추 등이 화사한 가을 햇빛을 맞고 있다.

 

 

안채 주변을 구경하는 사이에 사랑채에 손님이 들었다.

 

 

 

 

 

 

 

장독대에 금줄이 쳐져 있다.

 

 

방문자들의 장독대 출입을 통제하는 듯~

 

 

 

 

 

 

 

죽노차밭길 초입의 별채 모습이다.

 

 

 

 

 

 

 

이곳에서 차를 마시며 잠시 여독을 풀어 본다.

 

 

별채에서 보이는 풍경이다.

 

 

 

 

 

 

 

별채를 나서서 울창한 대나무 숲 사이의 죽노차밭길을 오른다.

 

 

죽노차밭길에서 본 별채 모습이다.

 

 

 

 

 

 

 

죽노차밭길을 오르다 만나게 되는 작은 정자 호서정 모습이다.

 

 

쌍산재의 어느 곳에서나 원하는 대로 쉬어 갈 수가 있다.

 

 

 

 

 

 

 

호서정을 지나서 더 위로 올라가 본다.

 

 

올라가면서 뒤돌아본 호서정 모습이다.

 

 

 

 

 

 

 

언덕 위에서 모습을 드러낸 대나무밭에 둘러싸인 넓은 뜰이다.

 

 

 

 

 

 

 

잔디밭 사이의 좁은 길을 따라간다.

 

 

이 길 끝에는 서당채인 쌍산재가 있다는데~